원유가격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6월 12, 2023 - 19:43
원유가격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원유가격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 낙농업계는 수요 위축 상황 등 낙농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원유와 유제품 가격을 결정할 것으로 기대

통계청은 5월 26일(금) 전년도 우유 생산비를 발표하였고, 낙농진흥회는 통계청 생산비를 바탕으로 원유기본가격*을 조정하기 위한 협상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6월 9일부터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통계청은 매년 1회 전년도 생산비를 발표하고, 생산자와 수요자는 통계청이 발표한 전년도 생산비를 기준으로 당해연도 원유가격을 결정합니다. 이는 생산비를 둘러싼 생산자와 수요자의 불필요한 논란과 원유가격 협상 과정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 농가 원유수취가격 = 원유기본가격 + 인센티브가격(유지방·유단백·체세포수·세균수로 구분되며 농가별 관리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 인센티브가격 4개 항목의 합계 최고금액은 179원/ℓ)

** 협상 소위원회(7인): 낙농진흥회장 1, 수요자 측 이사 3, 유업계 측 이사 3

정부는 지난 2년간 생산자, 수요자, 소비자 등 각계와의 논의를 통해 생산비만 반영하여 원유가격을 결정하던 기존의 원유가격 결정체계를 생산비와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결정하도록 개선해 올해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제도개편 결과 올해는 과거와 달리 원유가격 인상 폭이 낮아져 원유가격이 협상 상한선에서 결정되더라도 제도개편 이전의 최저 인상 폭보다 낮은 수준에서 결정됩니다. 이는 원유기본가격을 최대 58원/ℓ 인하하는 효과가 있어 물가 부담 완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구 분

(단위: 원/ℓ)

협상가격 범위

원유기본가격p

농가 수취 원유대p

(인센티브가격 포함)

현 행

69~104

1,065~1,100

1,233~1,268

과 거

104~127

1,100~1,123

1,268~1,291

증 감

최대 58원 인하 가능

다만,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사료비 인상 등으로 농가의 우유 생산비가 13.7% 상승*하였으며, 해외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농가의 생산비가 1년 또는 2년 뒤늦게 원유가격에 반영되는 가격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2022년 상승한 생산비를 농가가 감내해 왔습니다. 이로 인해, 농가의 젖소 마리당 소득이 23.3% 감소**하였습니다.

* 농가 우유 생산비: (’21) 842.95원/ℓ → (‘22) 958.71원/ℓ (13.7%↑)

** 젖소 마리당 소득: (’21) 3,651천 원/마리 → (‘22) 2,801천 원/마리 (23.3%↓)

해외의 경우 생산비가 원유가격에 신속하게 반영되기 때문에 2022년 미국의 원유가격은 2021년 대비 55.4% 상승하였고 EU도 37.0% 상승*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작년에 상승한 생산비를 올해 반영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소득 감소에 따른 농가의 어려움을 일부라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올해 어느 정도의 원유가격 인상은 불가피합니다.

* 미국: (‘21) 482원/ℓ → (’22) 749원/ℓ (55.4%↑) / EU: (‘21) 513원/ℓ → (’22) 703원/ℓ (37.0%↑)

그럼에도 불구하고, 흰우유 소비가 지속 감소하는 상황에서 과도한 원유가격 인상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외면하는 결과로 이어져 낙농산업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밖에 없습니다. 생산자와 수요자는 물가 상황뿐만 아니라 낙농산업의 미래를 고려해 원유가격 협상에 임할 것으로 보입니다.

식품 제조 업종별 원재료의 제조원가 비중은 53.8~78.4%*이며, 유가공품과 아이스크림류를 제외하면 주요 식품류의 국산 우유 사용률이 낮아 원유가격 인상이 가공식품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지역의 소규모 카페나 베이커리 등 상당수 외식업체는 국산 유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수익이 낮아 이미 저렴한 멸균유 등 수입산 유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식품 제조 업종별 원재료의 제조원가 비중: 빵류 58.8%, 과자류 59.4%, 면류 61.5%, 커피/코코아 65.1%, 음료류 53.8%, 제분 73.5%, 제당 65.5%, 식용유지 78.4%(농촌경제연구원, ’21)

< 주요 식품류의 원료 사용 현황 >

구분

주요 원료 사용 비중(%)

유가공품류

우유 90.3, 치즈 1.7, 대두유 1.4, 백설탕 1.4, 과당류 1.3, 포도당류 1.0 등

아이스크림류

우유 44.4, 백설탕 23.6, 유크림 7.6, 주정 5.4, 탈지분유 5.0, 물엿 4.7 등

빵류

밀가루 62.6, 백설탕 11.2, 계란 6.0, 팥앙금 3.2, 버터 2.3, 정제소금 1.5 등

과자류

밀가루 44.3, 백설탕 12.1, 감자 8.3, 팜유류 4.6, 물엿 4.3 … 버터 0.9

커피/코코아류

커피원두 35.0, 우유 29.1, 백설탕 26.2, 물엿 3.0, 올리고당 1.8, 전지분유 0.9

음료류

과당류 20.6, 백설탕 20.0, 감귤 18.0, 농축과채즙 9.0, 대두 8.3, 우유 7.8

건강기능식품

포도당류 21.2, 우유 20.1, 농축과채즙 10.3, 올리고당류 8.8, 백석탕 6.3 등

* 자료출처: 2021년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2)

정부는 원유가격이 인상되더라도 흰우유 등 유제품 가격이 과도하게 오르지 않도록 간담회 등을 통해 유업계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겠습니다.